국가유공자&보훈보상대상자

국가유공자 등록관련 용어 알아보기

윈행정사사무소 2019. 8. 18. 23:45

안녕하세요! 국가유공자 등록신청 전문가 그룹 윈행정사사무소입니다.

 

오늘은 '국가유공자 등록관련 용어'에 대하여 안내를 도와드리고자 합니다. 

 

국가유공자 등록신청을 진행하게 되면 6개월정도의 요건심사 기간을 거쳐서 요건심사 결과를 통보받게 되는데요, 요건심사 결과로는 등기우편으로 발송되어 요건심사 결과와 함께 '요건해당'이나 '요건비해당'의 결정을 내린 이유가 기재 되어 있는 심의의결서를 받게 됩니다. 

 

이때 심의의결서를 살펴보아도 생소한 단어와 이해하기 다소 어려운 용어들이 포함되어있습니다. 

 

국가유공자 관련 용어 알아보기

 

1) 상이 : 부상을 당했다는 것을 의미

 

2) 상이처 : 보훈대상자 등록신청시 보훈심사위원회의 심의, 의결을 거쳐서 법적으로 인정받은 부상 부위 또는 질병을 의미

 

3) 요건관련사실확인서 : 국강유공자 등록신청 시 신청인이 소속했던 기관장이 그 요건 및 관련 사실을 확인하여서 국가보훈처로 통보하는 문서를 의미

 

4) 상이등급구분 신체검사 : 신청인 상이 및 장애 정도를 판정하기 위한 검사를 의미

 

5) 등급기준 미달 : 신체검사 이후 상이정도가 국가유공자 법령으로 정해진 등급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를 의미, 재심신체검사나 재확인 신체검사 등으로 불복할 수 있음. 

 

6) 보훈급여금 : 국가를 위하여 희생한 국가유공자 또는 유족의 생활을 돕기 위하여 지급되는 금전적인 지원을 의미 

                     ( 보상급, 수당, 사망일시금, 재해보상금 등)

이 밖에도 다른 어려운 용어들이나 개인별 상황에 따른 궁금증이 있으신 분들은 언제든지 윈 행정사사무소 전문 행정사를 찾아주시기 바랍니다. 

 

국가유공자 등록신청은 처음 신청이 매우 중요하므로 이를 잊지마시기 바랍니다. 

 

 

[국가유공자 자가진단해보기]

나의 국가유공자 등록성공 확률은 얼마나 될까요? 가장 가까운 답변에 체크해 주세요^^

docs.googl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