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유공자&보훈보상대상자

국가유공자 등록신청 심장질환 기준안내

윈행정사사무소 2019. 4. 16. 16:00

최근 현대인들은 규칙적이지 못한 생활습관으로 인해 다양한 질병으로 고통을 겪고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특히나 과다한 업무로 인한 과로 및 스트레스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게 되는데요, 오늘은 국가유공자 등록신청과 함께 이에 관련된 심장질환으로 국가유공자 등록가능 기준을 안내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국가유공자로 등록되기 위해서는 직무행위 ro 교육훈련이 원인이 되어서 질병을 얻게 되거나 사망에 이르는 경우입니다. 먼저 심장질환으로 의심되는 경우 상이등급에 따라 분류되는 기준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심장질환과 관련되어 국가보훈처 공상군경 요건 해당사례와 중앙행정심판위원회의 재결례를 살펴보면, 공무를 수행하던중 발병되는 심장질환으로 심근경색, 협심증 등의 허혈성 심장질환과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심막 동맥경화, 신근병,  판막질환 등의 부정맥 질환들이 대표적으로 국가유공자 등록요건에 해당되는 심장질환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아래의 심장질환의 상이등급 분류와 기준을 통해서 살펴보면 더 정확하게 기준을 분류할 수 있습니다.

여러가지 질병 중 특히 심장질환의 경우에는 내과적 질환이기 때문에 의사 소견서 뿐만 아니라 사실확인원 등의 질병 및 사망원인을 직무관련성과 연결하여 입증해야합니다. 원칙적 법령으로는 심장질환으로 공상인정(국가유공자)을 받기 위한 요건은 아래와 같이 설명되고 있습니다.

 

심장질환의 경우에는 신청인이 사망 or 질병의 발생 전 평소의 건강상태를 확실하게 확인하여야하며, 평소 기초질환이 있는 경우와 건강하였던 경우 그 입증을 다르게 해야합니다.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심장질환의 경우 신청인이 근무했던 환경에 의한 질병의 발병이 의학적으로 판단하는 것도 굉장히 중요합니다. 

국가유공자 등록신청은 처음 준비하는 일반인 분들이라면 다소 어려움을 느끼실 수 있습니다. 제대로된 정보가 부족하여 국가유공자 등록가능한 상황인데도 비해당 요건을 판정받는 경우들도 많이 보이고 있는데요, 윈 행정사사무소에서는 이렇게 억울한 일을 당하지 않도록 전문가와 함께 도움을 드리고 있습니다. 실제 사례들을 통해서 증명해드리고 있으며 아래의 자가진단으로도 간단히 설명해드리고 있으니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국가유공자 자가진단해보기]

나의 국가유공자 등록성공 확률은 얼마나 될까요? 가장 가까운 답변에 체크해 주세요^^

docs.googl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