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국가유공자 등록신청을 하는 분들은 점점 늘어나고 있습니다.
보훈 심의 기준이 과거보다 점점 까다로워지고 세분화 되고 있습니다.
국가유공자 등록절차는 요건심사와 신체검사 그리고 보상심사로 순서대로 이루어집니다.
보통 12개월정도 시간이 걸립니다.
그래서 오래 걸리는만큼 한번에 등록신청이 이뤄지는 것이 좋습니다.
국가유공자 등록신청을 직접 해도 가능한지 궁금하시죠?

국가유공자 신청시 요건심사와 신체검사 그리고 보상심사시 각 단계별로 필요한 준비들이 있습니다. 간혹 의학이나 전문적인 법률 지식이 필요할수도 있습니다.
직무수행이나 교육훈련 중 상이가 발생했음을 보여줄 수 있는 병상일지입니다. 병상일지를 제때챙기지 못해서 낭패를 보는 분들이 많습니다. 특히 군병원 달리 기록보관이 짧은 외부 병원에서 치료를 받은분들은 의무기록을 찾기 어렵습니다. 그래서 직무수행이나 교육훈련과 직접적인 원인이 있다는 것을 밝히기 어려워서 국가유공자로 신청이 어려울수도 있습니다.
또한 나름 입증 자료를 준비했다고 하더라도, 신청서류 작성시 객관적이고 논리적인소명을 하지 않아서 국가유공자로 등록되지 못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국가유공자로 등록되기 위해서는 보훈심사위원회의 심사기준을 잘 알고 신청해야 합니다. 그래서 국가유공자 신청을 개인이 했다가 신청 결과가 좋지 못해서 본 사무소를 찾아오는 분들이 있습니다.

보훈심사위원회에서 가장 중점적으로 심사하는 부분은 공무수행과 부상과의 인과관계입니다. 얼마나 직접적인 원인이 있냐에 따라 국가유공자와 보훈심사대상자로 나뉘게 됩니다. 이 인과관계를 입증하기 위해서는 간단한 몇장의 양식으로 제출하면 안됩니다. 자신의 부상과 공무수행간의 인과관계를 뒷받침할 수 있는 객관적이고, 구체적으로 등록신청서를 작성해야 합니다. 국가유공자 등록신청서 작성부터 필요한 서류 준비까지 일반인분들에게는 다소 어려운 작업입니다.
그래서 혼자 준비하는것보다는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 전문대행업체가 필요한 이유 “
- 공무수행과 직접적인 연관관계를 밝히기 어려운 경우
- 전역이나 퇴직 이후 시간이 많이 지나서 입증자료를 찾는 것이 곤란한 경우
- 등록신청서를 제출하였으나 보훈처로부터 비해당이라는 통보를 받은 경우
- 상이등급 구분 신체검사 준비를 어떻게 해야될지 모르는 경우
- 국가유공자 등록이 거부 된 경우
- 소속기관에서는 공상판정을 받았는데, 보훈청에서는 인정을 받지 못한 경우

국가유공자 등록신청 절차는 간단하지 않습니다.
시간도 오래 걸리고 준비해야될것들도 많습니다.
그래서 개인적으로 준비하기보다는 국가유공자 등록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합니다.
윈행정사사무소는 국가유공자 등록신청의 경험이 많습니다.
수많은 경험을 토대로 국가유공자 등록에 성공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서 도와드리고 있습니다.
아래 국가유공자 자가진단을 해보신 후 상담신청을 남겨주시면 빠른 시간안에 연락드리겠습니다.


[국가유공자 자가진단과 상담신청하러가기]
▼▼▼
[국가유공자 자가진단해보기]
나의 국가유공자 등록성공 확률은 얼마나 될까요? 가장 가까운 답변에 체크해 주세요^^
docs.google.com
'국가유공자&보훈보상대상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격훈련 중 척추요추골절 부상 국가유공자vs보훈보상대상자 (0) | 2019.11.04 |
---|---|
내무실 침상에서 발생한 부상 국가유공자 신청가능할까요? (0) | 2019.11.03 |
보훈보상대상자 선정기준 (0) | 2019.11.01 |
군입대 후 암발생시 국가유공자 등록신청 하는 방법 (0) | 2019.10.31 |
국가유공자 보훈심사에서 요건 비해당 판결을 받는다면? (0) | 2019.10.30 |